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3.0

슈퍼블록 오버월렛 포인트 잘 모아두세요. 나중에 오버코인으로 에어드랍 예상 됩니다.

by josephline 2023. 10. 19.
728x90
반응형

 

국내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기업 "슈퍼블록"
슈퍼블록에서 개발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브랜드가 "오버네트워크"
슈퍼블록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지갑이 "오버월렛" 

 

현재 글로벌에서 인지도를 넓혀가며 오버월렛 사용자가 약 4백만명이 넘는 것 같습니다. 

 

클레이튼을 비롯한 국내 메이저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DApp 생태계 확장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외 블록체인 기업들은 zk롤업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레이어2 프로젝트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습니다. 

 

 

롤업(roll-up) 기술

  • 롤업 기술은 L2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한 뒤, 실행한 트랜잭션 데이들과 변경된 상태의 요약본을 L1에 저장하는 솔루션 입니다. 
  • 여러 트랜잭션을 한 번에 처리함으로써 저렴하고 빠른 거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동안 블록체인 기술이 실생활 적용의 한계점을 개선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롤업은 온체인에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데이트 된 상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데,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에 따라 롤업의 종류는 사기증명을 이용하는 옵티미스틱 롤업과
영지식 증명을 사용하는 zk롤업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 아비트럼, 옵티미즘 등의 L2 메인넷은 옵티미스틱 롤업 방식을 사용하고, 
  • 최근 출시되는 컨센시스의 Linea, 코인베이스의 Base, 폴리곤 zkEVM, zkSync 등은 모두 zk 롤업 기술을 사용합니다. 
  • zk 롤업 기술은 또 영지식 증명 방법에 따라 stark 와 snark로 구분되는데...

오늘 포스팅 주제는 아니니..zk 롤업 기술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글로벌 시장은 블록체인 메인넷 전성시대..우리나라는?

  • zk 롤업 기반의 L2를 포함해서 다양한 L1 프로젝트도 글로벌 시장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 그러나, 국내 블록체인 기업들은 비용과 시가이 많이 소요되는 메인넷 개발 보다는 메인넷 위에서 작동되는 DApp 개발, NFT 프로젝트 등 당장 돈 되는 비즈니즈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블록체인 메인넷이 없는 실정입니다. 
  • 물론, 국내에서도 어려운 상황에서 블록체인 메인넷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슈퍼블록은 올 2월에 약 90억원 투자유치에 성공 후, 
올 연말에 메인넷 출시는 앞두고 있습니다. 


오버 네트워크의 키워드에 주목하자 - Homestaking

  • 오버 네트워크는 누구나 집에서 노드를 운영할 수 있는 경량 노드 방식입니다. 
  • 예를들어, 비트코인 풀(full) 노드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80만개 넘게 쌓인 블록을 몇 일 동안 다운로드를 받아야 하고, 채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병렬 연산이 가능한 고성능의 GPU가 있어야 하지만...
  • 오버 네트워크의 경우, 작은 크기의 경량 노드로 집에서도 쉽게 누구나 운영할 수 있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왜 우리는 오버 월렛으로 포인트를 모아야 할까?

  • 현재 오버 월렛은 출시되어 마켓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매일 출석체크 및 퀴즈를 풀게 되면 오버 포인트를 제공하는데...아마도 메인넷 출시와 함께 Over 코인일 발행되면 꾸준히 모은 오버 포인트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할 것 같습니다. 
  • 교환 비율은 향후에 재단에서 공지 할 것으로 예상되고...
  • 우리는 이렇게 에어드랍 받은 Over 코인을 가지고 스테이킹을 하거나, 검증인(Validator)로 참여해서 Over 코인을 채굴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버월렛 다운로드 하러가기

 

🤝 joseph의 오버 지갑 초대를 받았어요 (Z3YN9M3XOB)

친구의 초대코드를 입력하고 포인트를 받으세요

mobile.over.network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