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3.0

이더리움(ETH), 상승 낙관론 여전..랠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by josephline 2023. 11. 14.
728x90
반응형

 

원문보기

 

이더리움, 상승 낙관론 여전...랠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

▲ 이더리움(ETH) 지난주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신청서 제출 소식 덕분에 2,...

m.newspic.kr:80

 

지난주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신청서 제출 소식으로 이더리움이 2,000달러를 돌파한 이후에도 랠리가 계속도리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더리움이 2,000달러 저항을 돌파한 이후, 2,120 달러를 향해 갈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비트코인(BTC) 상승폭에 비해서 이더리움은 주춤했었는데,..2,000 달러 돌파 이후 비트코인보다 높은 상승폭을 기록하면서 2,050달러의 저항선을 돌파했습니다. 

 

그래도 차트상으로는 2,020 달러 주변에서 저항선이 있다고 예측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암호화폐 시세가 차트 공식으로만 움직이지 않으니...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차트적인 접근방법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제 개인적인 견해는...최근 솔라나, 아발란체, 폴리곤 등 알트 레이어1 프로젝트들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락장에서 이런 알트 레이어 1 프로젝트에서 발행한 코인들의 하락세가 더 컸는데요..중앙화 이슈, 브릿지 해킹 이슈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지만, 롤업 기술을 앞세운 옵티미즘(OP), 아비트럼(ARB) 등의 강력한 레이어 2 프로젝트의 등장도 알트 레이어 1 코인의 하락세를 더 가속화 시킨 원인으로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롤업(Roll-up) 기술은 레이어 2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한 뒤, 실행한 트랜잭션 데이터들과 변경된 상태의 요약본을 레이어 1에 저장하는 솔루션인데,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옵티미스틱 롤업 방식과 Zk 롤업 방식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초기에 등장한 옵티미즘, 아비트럼과 같은 레이어 2 프로젝트는 zk 롤업의 유효성 검증방식의 기술적인 난이도, 그리고 EVM과 호환성 부족 등의 이유로 옵티미미스틱 롤업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출시하는 Zk롤업 기반의 레이어 2 프로젝트들은 EVM과의 호환성을 구현하면서...

 

1) 메타마스크 지갑 개발사인 컨센시스의 '리니어(LINEA) 체인'

2) 코인베이스 거래소의 '베이스(BASE) 체인'

3) 메타랩스의 'ZkSync 프로젝트'

4) 폴리곤 자회사 폴리곤 Hermez의 'Polygon ZkEVM'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들 모두 Zk 롤업 방식을 사용하는 레이어 2 프로젝트 입니다. 

또한, 토큰 출시에 대한 기대감으로 애드작(에어드랍 작업) 참여자들이 많아져 Zk롤업 기반의 레이어 2 체인의 트랜잭션이 급등하는 모습입니다. 

 

대규모 투자자본을 앞세워 시장에 진출하는 레이어 2 프로젝트들이 암호화폐 상승장에서 토큰을 출시하게 된다면..예전과 같은 암호화폐 상승 랠리가 이어져 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고,  

 

레이어 2 프로젝트의 상승은 당연히 레이어 1 이더리움 시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Zk 롤업의 영지식 증명 방식은 스타크(Stark) 방식과 스나크(Snark)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이 내용은 향후에 따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현재까지의 Zk 롤업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snark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메인넷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Starknet 등 스타크 방식의 영지식 증명방식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도 곧 출시를 아두고 있습니다. 

 

간다히 설명드리면 스타크 방식은 스나크 방식에 비해 증명의 크기가 커서 가스비가 더 많이 소요되고, 검증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는데...Starknet이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어떻게 보완해서 출시하는지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시고.. 다음 번에는 zk 롤업에 대한 더 자세한 소개 및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인 레이어 제로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